있는 사과를 해주길 바란다
본문
진정성 있는 사과를 해주길 바란다.
” ―진실화해위는 신원조작 피해자에 대한 구제조치도 주문했다.
“정부는 사과 이후에는입양기록의 오류나 조작을 바로잡아 가족재회 등 원상회복에 힘써야 한다.
전문성과 비용이 수반되는 일인 만큼 예산권을 가진 독립기구가.
기록은 사라졌다 [김유리/해외입양피해자] "이거는 납득할 수가 없습니다.
제발‥ 우리들은 국가의 피해자들입니다.
" 결국,입양기록을 찾을 수 없다는 것 자체가 진실 규명을 가로막았습니다.
[피터 뮐러/덴마크한국인진상규명그룹(DKRG) 공동대표 - 정영훈/진실.
참여해 조사가 진행됐으면 좋겠다는 얘기를 하시더라고요.
" - 입양인에 대한기록관리는 전혀 안 되는 것 같아요.
"일단은입양기록전산화 사업을 아동권리보장원에서 진행했는데요.
전국에 있는 86개 보육시설의기록들이에요.
사실 아이가 처음에 맡겨졌을 때의.
개소 이래 지난 24일까지입양동포 전담창구에는 총 119건 민원이 접수됐다.
이 중 24건은 가족 찾기 지원, 9건은입양기록열람 및 정보 추가 요청, 그 외 정보공개청구, DNA 등록 등 다양한 민원이 포함됐다.
김채영 차세대동포과 과장은 "국내 체류 중.
달라'고 '전화번호라도 달라'고.
" 유리 씨는 18살이 돼서야 지옥이나 다름없던 집을 탈출할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입양기록을 뒤지며 이상한 점을 발견했습니다.
시설이 만든 유리 씨의입양서류.
유리 씨 남매가 부랑, 즉.
아이까지 내다 파는 일이 그렇게 생겼다.
이른바 '묻지마 대리입양', 그 절차의 관리를 위해 아이들에게 부여한 번호가 바로 K-넘버다.
유관 시설은 입소 당시기록을 공개하는 걸 철저히 꺼린다.
수 년 동안 반복적으로 한국을 찾아와.
내에서 최대한 효율적인 방법을 찾아 국민들께 불편이 가지 않도록 하겠다”고 했다.
보장원은 현재 여러 민간기관에 흩어져 있던입양기록을 임시 서고에 안전하게 보존하는 작업도 진행 중이다.
입양기록서고를 확보하기 위해 40여곳의 후보지를 답사했으며, 이 중.
3기 진화위가 출범하지 않으면 해외입양의 진실은 이대로 영영 묻혀버릴지도 모르는 상황.
지난주에 이어 <스트레이트>는 부실한 해외입양기록관리의 실태를 보도한다.
com/replay/straight/6710619_28993.
이를 통해입양과정과 사후관리,입양정보의 수집·관리, 제공 등 모든 부분에서 공적 개입이 강화된다.
특히 모든입양기록관리와입양정보공개 업무가 아동권리보장원으로 일원화될 예정이다.
아동권리보장원은 민간입양기관들이 분산해 보관 중이던.
최근 국회 추가경정예산안 심사에서 공적입양체계 개편 관련 예산 27억여원 증액 의견이 나왔던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결과적으로 1일 본회의 문턱을 넘은 추경 예산에는 한 푼도 반영되지 못했다.
지난해 말 2025년도 본예산 예비심사 때도 유사한 내용의 증액.